2025년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Top 11
- Joon Kim
- 1월 16일
- 5분 분량
최종 수정일: 8월 14일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마케팅 시장 중 하나로, 소셜 미디어 사용량과 인터넷 보급률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유튜브, 틱톡과 같은 플랫폼은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채널로 자리 잡았으며, 이들 플랫폼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은 패션, 뷰티, 음악,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자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들은 뛰어난 콘텐츠 창의성과 현지 문화에 기반한 공감대를 형성하며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25년 말레이시아 디지털 시장은 보급의 ‘양적 성장’이 거의 성숙 단계에 들어섰습니다. DataReportal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는 2015년 1,930만 명에서 2025년 3,360만 명으로 10년 사이 +74% 확대됐습니다(단위: 명). 특히 2019년 +8%, 2020년 +9.3%로 팬데믹 시기 급증을 기록한 뒤, 2023~2025년은 각각 +1.2% 내외로 안정적인 상승을 이어가며 고침투·고이용 국면에 안착했습니다. 이런 구조 덕분에 인스타그램·유튜브·틱톡은 ‘광역 도달’과 ‘커머스 전환’을 동시에 노릴 수 있는 핵심 미디어로 굳어졌고, 현지 크리에이터들은 패션·뷰티·푸드·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브랜드–소비자 간 실시간 접점을 만듭니다.
이번번 글에서는 말레이시아를 대표하는 TOP 11 인플루언서를 통해, 이들이 어떻게 영향력을 구축했는지와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전반적인 트렌드와 잠재력을 살펴보겠습니다.
2025년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Top 11🔽
활동 플랫폼: YouTube, Instagram, Facebook, 자체 앱
구독/팔로워: YouTube 약 445만
주요 콘텐츠: 홈트레이닝, 무장비 전신 운동, 초보자용 루틴, HIIT·유산소 대체 운동, 코어 강화, 지방 연소
한줄 슬로건: “Anywhere, anytime — from level 1 to full-body burn.”
소개: 말레이시아 출신 인증 트레이너이자 피트니스 크리에이터. 한때 파티 중심의 생활에서 벗어나 20대 초반부터 운동을 시작, 홈트레이닝 콘텐츠와 앱 ‘Train with Jordan’을 통해 전 세계 시청자에게 체계적인 루틴을 제공. 초보자부터 고급자까지 장비 없이 따라할 수 있는 레벨별 프로그램이 강점.
채널 특징: ♦ 타이머·세트·난이도 표기로 따라하기 쉬운 영상 구성 ○ 전신/부위별·체중 운동·코어·지방 연소 등 목표별 재생목록 제공 ○ 무장비 HIIT, 지방 연소 루틴으로 지속성↑ (짧은 시간+고강도 구성)
추천 이유:
스포츠웨어·피트니스 앱·홈짐 기구·건강식 등 제품을 운동 루틴 속 자연 노출로 설계 가능
남녀 불문, 특히 홈트·건강 타겟 캠페인에서 신뢰 기반 전환 기대치 높음 (전문 자격·실전 경험·교육형 콘텐츠)
10. Alieff Irfan
활동 플랫폼: YouTube, Instagram
팔로워/구독: YouTube 약 601만, Instagram 약 230만+
주요 콘텐츠: 브이로그, 챌린지, 가족/여행
한줄 슬로건: “큰 채널의 친근한 이야기”
소개: 대형 버라이어티형 Vlog. 남녀 혼합 타깃 도달에 유리.
채널 특징:
♦ 기획물·콜라보 진행 경험 풍부 ○ 롱폼/숏폼 병행 ○ 브랜드 미션형 콘텐츠 소 추천 이유: 모빌리티, 통신/게임, 대형 가전—확산형 캠페인
9. Hanis Zalikha
활동 플랫폼: Instagram, YouTube
팔로워 수: 인스타그램 약 600만
주요 콘텐츠: 육아, 홈/패션, 라이프
한줄 슬로건: “워킹맘의 현실적이고 따뜻한 루틴”
소개: 가족·집중심 콘텐츠로 신뢰도 높음. 실사용 맥락형 PPL에 강함.
채널 특징: ♦ 튼튼한 여성/맘 타깃 ○ 정리·수납·룩 조합 등 루틴형 포맷 ○ 댓글 상호작용 적극적
추천 이유:
유아/패밀리, 홈케어, 소형가전—전환형 캠페인에 적합.
8. Nur Fazura
활동 플랫폼: Instagram
팔로워 수: 약 620만
주요 콘텐츠: 패션, 뷰티, 엔터
한줄 슬로건: “스타일과 진정성의 밸런스”
소개: 배우·가수·사업가. 팬과의 소통이 활발하고 브랜드 이미지 소화력이 좋음.
채널 특징: ♦ 우아한 톤·브랜드 컷 완성도 높음 ○ 향수/주얼리 연출 강점 ○ 이벤트·런칭 참여 경험 풍부
추천 이유:
뷰티·향수·럭셔리 액세서리 카테고리.
활동 플랫폼: TikTok, Instagram, YouTube
팔로워 수: TikTok 약 620만, Instagram 약 400만
주요 콘텐츠: 요리 레시피, F&B, 라이브커머스
한줄 슬로건: “레시피에서 바로 결제로—라이브의 교과서”
소개: 자체 식품 브랜드로 폭발적 매출을 만든 크리에이터. 라이브 판매·한정판 전략에 강함.
채널 특징: ♦ ‘15–60초 레시피’ 숏폼 최적화 ○ 라이브 전환율·재구매 경험치 축적 ○ 패키지·굿즈 기획 능숙
추천 이유: F&B·주방가전·키친툴—즉시 전환 목표 캠페인.
6. Mira Filzah
활동 플랫폼: Instagram, TikTok
팔로워 수: Instagram 약 720만
주요 콘텐츠: 패션, 뷰티, 라이프스타일
한줄 슬로건: “세련된 모데스트, 일상에 스며들다”
소개: 배우/모델. 현대적이면서 전통을 살린 스타일링으로 여성 팬층 탄탄.
채널 특징: ♦ 룩북·하울·에디토리얼 컷 소화 ○ 가족/일상 컷으로 접근성 높음 ○ 사진/숏폼 병행 운영
추천 이유: 패션/주얼리/뷰티 론칭, 백·슈즈 등 비주얼 중심 제품.
5. Nora Danish
활동 플랫폼: Instagram
팔로워 수: 약 750만
주요 콘텐츠: 엔터/패밀리, 패션
한줄 슬로건: “오랫동안 사랑받는 국민 여배우의 일상”
소개: 지속적인 출연/캠페인으로 장기 팬덤 보유. 패밀리 친화 톤.
채널 특징: ♦ 폭넓은 연령층 도달 ○ 가족·여행·행사 중심 스토리 ○ 브랜드 세이프티 우수
추천 이유:
리빙·가전·관광·대형 리테일의 대중 브랜딩.
4. Zizan Razak
활동 플랫폼: Instagram, TikTok
팔로워 수: 인스타그램 약 778만
주요 콘텐츠: 코미디, 예능/영화, 음악
한줄 슬로건: “말레이 대중의 웃음 버튼”
소개: 배우·코미디언·MC로 멀티 IP 보유. 코믹 숏폼과 현장형 협찬에 강함.
채널 특징:
♦ 광역 도달·빠른 확산력
○ 챌린지/밈 포맷 전환 쉬움
○ 오프라인 이벤트 연동 능숙
추천 이유: F&B, 통신, 내셔널 캠페인 등 ‘큰 리치’가 목표일 때 1순위.
3. Neelofa
활동 플랫폼: Instagram, TikTok
팔로워 수: 인스타그램 약 860만
주요 콘텐츠: 모데스트 패션, 뷰티, 비즈니스
한줄 슬로건: “패션 아이콘에서 창업자로—라이프의 해답을 제시”
소개: 히잡/뷰티 D2C 브랜드 창업자. 스타일·커리어·신앙을 조화한 스토리로 여성 팔로워 결집.
채널 특징:
♦ 화보급 비주얼·룩북/캠페인 연출 강점
○ 창업자 인사이트·토크형 콘텐츠 소화
○ 글로벌 패션위크 연계 협업 경험
추천 이유: 패션/뷰티 론칭, 핀테크·교육(커리어 여성 타깃), 모데스트 마켓 공략.
활동 플랫폼: Instagram, YouTube, Facebook
팔로워 수: 인스타그램 약 920만+
주요 콘텐츠: 음악, 공연/패밀리, 라이프스타일
한줄 슬로건: “국민 디바의 일상, 모두가 안심하고 보는 채널”
소개: 말레이시아를 대표하는 보컬리스트. 음악·공익·가족 중심의 스토리로 전 세대 신뢰를 확보.
채널 특징: ♦ 국가급 이벤트·브랜드 세리머니 적합 ○ 패밀리 세이프·호감도 높은 코멘트 흐름 ○ 고퀄 사진/무대 비하인드로 재활용 용이
추천 이유: 프리미엄·공공 캠페인, 금융/통신 등 폭넓은 대중 도달이 필요한 브랜딩에 최적.
1. Siew Pui Yi
활동 플랫폼: Instagram, TikTok
팔로워 수: Instagram 약 2,500만+
주요 콘텐츠: 패션/음악, 글로벌 라이프
한줄 슬로건: “월드와이드 리치, 명확한 가이드로 활용”
소개: 글로벌 도달력이 큰 메가 인플루언서. 세이프티 가이드를 명확히 전제하면 높은 화제성.
채널 특징: ♦ 해외 팬덤·대규모 리치 ○ 화보·뮤직·이벤트 중심 ○ 브랜드 가이드 준수 필요
추천 이유:
글로벌 인지도 확대, 대담한 크리에이티브가 필요한 패션/라이프스타일 캠페인.
결론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시장은 지난 10년간 고침투 구간에 진입하며 유튜브·틱톡·인스타그램 3축으로 굳어졌습니다. 특히 틱톡 라이브커머스가 실매출을 견인하고, 유튜브는 신뢰·체류·리치, 인스타그램은 크리에이티브·DM 전환을 담당하는 역할 분담형 퍼널이 표준입니다.
2025년 성과의 핵심은 브랜드-크리에이터 핏과 생활 맥락 노출(루틴·레시피·OOTD), 그리고 장기 파트너십입니다. 실행은 ①테스트 코호트(브랜딩용+전환용 분리) → ②학습/리픽셀 → ③확장 순으로 설계하고, AVV(최근 10개 평균 조회수)·시청지속률·라이브 전환·코드 사용량을 한 세트로 측정하세요. 광고 표기/저작권/개인정보 등 리스크 가이드를 명확히 하면 안정적으로 스케일할 수 있습니다.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의 콘텐츠는 말레이시아의 문화를 반영하는 동시에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으며,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가능성을 입증하는 좋은 사례가 됩니다. 앞으로도 이들의 성장과 더불어 말레이시아 디지털 마케팅 산업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FAQs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마케팅은 어떤 플랫폼이 가장 효과적인가요?
목표에 따라 다릅니다.
틱톡/틱톡샵: 라이브커머스·즉시 구매 전환에 강함.
유튜브: 긴 체류·신뢰/교육형 콘텐츠(리뷰, 레시피, 튜토리얼).
인스타그램: 룩북·하이라이트·DM/스토리 링크로 마이크로 전환.→ 이상적인 구조는 숏폼(도달) → 롱폼(신뢰) → 라이브/링크(전환)의 퍼널.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마케팅 비용은 얼마인가요?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를 고를 때 체크리스트는?
해외 브랜드가 말레이시아에 진출할 때 주의사항은?
2025 말레이시아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는 무엇인가요?



